[기독교적 인간관] 타락한 상태의 인간 - 죄의 본질(상태로서의 죄와 행위로서의 죄, 배역인가 아니면 불안인가, 도덕적 악, 자연적 악, 유한성), 죄와 인간의 자유, 인간의 동기부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적 인간관] 타락한 상태의 인간 - 죄의 본질(상태로서의 죄와 행위로서의 죄, 배역인가 아니면 불안인가, 도덕적 악, 자연적 악, 유한성), 죄와 인간의 자유, 인간의 동기부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죄의 본질
1) 상태로서의 죄와 행위로서의 죄
2) 배역인가 아니면 불안인가
3) 도덕적 악, 자연적 악, 그리고 유한성
2. 죄와 인간의 자유
3. 인간의 동기부여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소가 그 사람의 선택에 기인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은 하나님의 주권성을 경감시키며 신앙을 하나의 '행위’ 로 만들어서 기독교를 은혜 대신 행위의 종교로 만든다고 주장한다. 한편으로 알미니안들은 기독교인이 되는 데 있어서 선택 또는 인간의 자유라는 요소가 있으며 달리 주장하는 것은 인간을 도덕적 로봇으로 만들며 하나님을 거대한 꼭두각시 주인으로 만든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알미니안들은 인간이 죄에 속박되어 있다는 사실과 그 속박에서 인간을 해방시키는 하나님의 행하시는 일의 중심적인 중요성을 부인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 자유와 관련해서 기독교인이 되려는 결심 문제를 다루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매일의 주고받는 생활 속에서의 인간의 자유에 초점을 맞추려고 한다. 이 글에서는 인간이 삶의 순간순간 완전한 선을 선택하기에는 자유롭지 못할 수도 있다고 말하는 정도로 충분하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것은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영역을 넘어간다. 그러나 완벽한 선을 선택하기가 어렵다고 해서 대안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우리는 완벽하게 정직하게 사는 것을 선택하지 못할 수 있지만, 삶의 구체적인 경우에 정직할 수도 있고 기만적일 수도 있는 실제적 선택권이 있다.
하나님은 주권적으로 그의 은혜와 구속 계획의 승리를 보증하기 위하여 인간의 선택을 인도하실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선택은 인간이 한다. 예를 들면, 하나님은 우리 중한 명이 이 땅에서 하나님의 목적을 위한 매우 중요한 어떤 일을 하도록 예정하셨을 수 있다. 이때 하나님께서는 그 목적을 향하여 우리의 행동을 인도하시는데, 모범이나 훈계를 통하든지 아니면 가난과 위선에 대한 비애감을 통하여 그 목적을 향하여 갈 수 있도록 하실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서든지, 그 목적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는 우리가 결정한다. 그리고 그 행동에 대하여 하나님께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다. 영원의 관점에서 보면 하찮은 결정이나 중요하지 않은 사람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3. 인간의 동기부여
창조 기사에 함축되어 있는 인간의 동기는 인간의 타락 사건에서 유추할 수 있다. 하나님께 대항하는 반역성, 즉 인간이 신이 되려는 욕구는 인간이 행하는 모든 일에 작용하는 동기다. 또한 죄가 인간의 한계점이라는 틀 속에서 자유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존재론적 불안에 뿌리박고 있는 한, 이무거운 책임감에서 탈출하고 싶은 욕구가 항상 동기로 작용한다. 타락 사건에서 아담과 이브는 우선 하나님의 낯으로부터 피함으로써 자신의 죄를 감추려고 했으며, 그 후 책임을 전가하며 개인적인 책임을 회피했다.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인식과 그 의로운 심판을 회피하려는 욕구가 우리가 행하는 모든 것을 물들이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동기에 대한 이해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복잡하게 한다. 인간은 구속함을 받지 못한 근본적 인 본질(그리고 구속함을 받은 본질에서조차)의 일부로서 복합적이며 갈등을 야기하는 동기를 경험한다. 예를 들면, 데이트하거나 결혼하는 시기에 접어들면 상대방과 친밀감을 원하는 선한 동기와 상대방이 자신에게 힘을 행사하기를 바라는 나쁜 동기를 동시에 가질 수도 있다. 요약하자면, 동기라는 별자리는 하나님을 대항하는 우리의 반역성으로 인하여 매우 복잡하다. 우리의 동기는 순수하지 못하며 결코 단순하지 않다.
참고문헌
윤철호 저, 기독교 신학개론, 대한기독교서회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샹 양 탠 저, 상담과 심리치료(기독교적 관점), 이레서원 2014
해로 반 브루멜른 저, 기독교적 교육과정 디딤돌, IVP, 2006
이숙경 저, 신앙과 기독교교육, 그리심 2015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1.22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28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