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기이며, ≪북행일기 北行日記≫ 1책은 1644년 4∼6월의 일기인데 이것들은 원래 10책본의 일부였던 것으로 보인다.
소현세자는 1637년 정월에 인조가 삼전도(三田渡)에서 청에 항복한 뒤 화약의 조건에 의해 2월 8일에 조선을 출발, 4월에 심양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7.0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현세자 죽음을 영조때의 사도세자 죽음과 비유하지만 그것은 비교자체가 되지 못한다. 최소한 영조는 사도세자가 자신의 왕권에 도전한 것에 대해 응징했지만 최소한 죄없는 왕손만은 죽이지 않았으니까 그리고 그 왕은 조선 후기를 화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현세자, 빈궁, 봉림대군, 인평대군 등을 볼모로 삼고 미리 유치하였던 척화론자 오달제, 윤집, 홍익한을 심양으로 끌고 갔다. 청군은 조선에서 철수하는 도중에 단도의 동강진을 공격하게 하였는데, 이 때 청 태종은 패륵 아탁과 항복한 명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그것은 사람의 건강을 지키고 생명을 살리는 일. 그런데 사람 살리는 일에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 되고 하는 장벽을 쳐놓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현대의학은 수술적 방법이나 항생제 치료 등 일부 부문에서는 탁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04.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현세자의 죽음은 조선의 꿈이 좌절된 것이기 때문이다. 소현세자가 아담 샬을 만난 것은 조선이 개국한 1876년보다 무려 2백32년이나 빠른 1644년의 일이었다. 그때 낡아빠진 성리학을 버리고 변화하는 세계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취했다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