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단을 포함할 수 있지만, 사단은 칠정을 포함할 수 없다고 주장함.
- 사단은 단지 칠정의 선한 측면일 뿐이라고 주장함.
- 기가 발하여 이가 기를 탄다(기발이승일도설)
*주리론
- 성리학의 이기론(理氣論)에서 이(理)의 우위를 주장하는 이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림)
관학파 - 급진 개혁파 계승, 민간 신앙 포용, 주례+사장 중시
사림파 - 온건 개혁파 계승, 민간 신앙 배척, 경학+성리학 중시
이황 - 주리론(이>기), 주자서절요+성학십도, 근본적+이상적, 일본의 성리학에 영향
이이 - 주기론(기>이), 동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적 의미
①왕필(귀무론)과 곽상(독화론)을 종합검토, 지허 개념 중심으로 비교적 질서정연한 우주 본체를 완성시킴
②태허의 우주구성론은 장재의 기본체론 구성의 계기가 됨
5)발전가능성
·지허--(절대적 불변성 강조)-------------> 주리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6.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칠정의 이기론적 해석은 그후에도 우리나라 성리학의 중요한 이론적 탐구 대상으로 남아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었고, 성리학 이해에 깊이를 더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그 가운데 이황의 호발설을 지지하는 견해를 주리론(主理論)이라 하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론과 소론으로 분열되었다. 율곡학파에는 우암학파 농암학파 화서학파 등의 세분이 가능하다.
조선조 후기에야 실학파가 등장함으로써 제도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지만 기철학의 등장과는 아직 거리가 있었다.
note
사칠논쟁
심성론에 대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학자 한 명을 선택하여 그 철학자의 중심사상을 정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동양철학자의 어떠한 주장과 이론이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각자의 관점과 견해를 개진해 보았다. 퇴계의 사상에서 보는 인간의 모습을 고찰하기 위해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3.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회에서 이러한 성리학의 인간관이야 말로 새롭게 재평가되어야 한다.
이(理)와 기(氣)는 이원존재로서 경험적·현실적으로는 혼륜하여 분개할 수 없지만 이론적 가치론적 입장에서는 반드시 나누어 보아야 한다고 한 바, 그 소종래를 추급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론을 받은 이황은 자신의 견해를 일부 수정하였다. 우선 칠정을 선악(善惡)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이라고 했던 것에서 '본래는 선하지만 악으로 변하기 쉬운 것'이라 하였으며, 사단과 칠정의 발생 근원에 있어서도 사단 역시 칠정과 마찬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회보장론’
-노병일·윤경아(2004). ‘주거빈곤층의 삶과 터전’
-윤경아(2001) ‘도시 빈곤지역 주민의 사회복지 욕구측정’ Ⅰ. 노숙자의 특징
1. 일반적 특징
2. 인구적 특징
(가) 남성 노숙자
(나) 여성 노숙자
(다) 노숙 아동 · 청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1.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울였는데 퇴계와 율곡의 주장을 각자 확대적용하다 보니 극단적인 데로 사상이 경도되는 경향이 있었다. 퇴계학파의 학봉계와 서애계의 학자들은 율곡의 주기적 경향을 비판하다보니 이선기후의 주리설이 극단화되어 이활론, 이동론으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