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안병희,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2003
나찬연, 한글 맞춤법의 이해, 월인, 2002
한용운, 한글 맞춤법의 이해와 실제, 한국문화사, 2004
김재욱, 새로운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북피아, 2005
고창운, 한글 맞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400원
- 등록일 2010.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1996
이현복·임흥빈·김하수·박형익, 한글 맞춤법, 무엇이 문제인가?, 태학사, 1997
원영섭, 띄어쓰기 맞춤법 용례, 세창출판사, 1997 Ⅰ. 서론
Ⅱ. 한글맞춤법의 배경
Ⅲ. 한글맞춤법의 원리
Ⅳ. 띄어쓰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띄어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그 허용에 있어서 세부적인 사항이 명확하지 않아 다소 문제가 있음을 또한 알 수 있었다.
3. 결론
지금까지 《한글맞춤법》의 '허용, 다만 규정'을 중심으로, 이 규정들의 문제점에 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5.08.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글 맞춤법》제44 항에서 찾을 수 있다.
(35) 수를 적을 때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
이 규정은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과 같은 띄어쓰기에 적용되지만 '스물여섯'에도 적용된다. '만' 단위로 띄어 쓴다는 것은 '만'보다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9.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에서는 띄어쓰기가 사용되지 않았다. 동양에서 글을 띄어 쓰는 것은 군주나 상위자가 등장할 때 높이는 용도로 쓰였다. 우리말 띄어쓰기의 가장 대표적인 원리는 단어 단위로 띄어 쓰되 조사는 붙여 쓴다는 것으로써, 문장의 각 단어는 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0.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ㅎ’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음
8. 띄어쓰기
Ⅵ. 한글맞춤법의 파괴
1. 연철
2. 자모 표기의 오류
1) 홀소리의 교체
2) 닿소리의 교체
Ⅶ. 한글맞춤법과 표준어
Ⅷ.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Ⅸ.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서 론
Ⅱ. 본 론
1. 한글맞춤법의 원리
1) 띄어쓰기의 원리
① 문장의 각 단어는 구분지어 표기한다.
② 실사(實辭)가 잘 드러나도록 띄어 쓴다.
③ `-아/어` 뒤에 오는 보조용언이나 의존명사에 `하다, 싶다`가 붙어서 된 보조용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10.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의 변천과 원리」, 『한국 어문의 제문제』, 일지사, 1983.
이희승·안병희, 『고친판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1994.
*목 차
1.들어가며
2.한글 맞춤법의 원리
2.1.소리에 관한 것
2.2.형태에 관한 것
2.3.띄어쓰기
3.한글 맞춤법에 대한 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글에서 잘못된 글쓰기 사례를 찾아 고쳐본다.
3. 정리
1) 학습 내용 정리 및 형성 평가
2) 차시 예고 및 과제 제시
· 차시 : 생활 주변에서 한글 맞춤법의 실태 조사해 보기
· 과제 : 학교 웹 게시판에서 글 하나를 골라 잘못된 띄어쓰기 사례를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자체가 예외이므로, 표기에서도 예외를 인정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1914 말의소리: '본음' 판단에 변화(혼란) '높'과 '놉'을 모두 본음으로 인정
* 1933년의 한글맞춤법통일안은 1910년 국어문법 당시의 원리를 적용
* 한글맞춤법의 규정이나 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9.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