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시론의 특성 연구 - 전환기 시론을 중심으로, 한국말글학회, 1999
정한모 / 현대시론, 민중서관 1973 Ⅰ. 개요
Ⅱ. 현대시론과 시적 화자
Ⅲ. 현대시론과 모더니즘
1. 모더니즘의 발생
2. 전후 모더니즘
Ⅳ. 현대시론과 김기림 시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적 과제가 세계의 중심문제와 일치된 점을 추구
행동시의 수립이 가능
3. 김경린
조선일보에 차창, 꽁초, 화안을 발표하고 시림의 동인, 일본 VOU동인으로 모더니즘운동에 참가, ‘막’의 후기 동인, 해방 후 ‘시론’동인, ‘새로운 도시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규동, 『현대의 신화』, 덕련문고, 1958.
김규동외, 『평화에의 증언』, 삼중당, 1957.
김규동, 『새로운 시론』, 산호장, 1959.
김기림, 「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 『인문평론』, 1939. 10.
문혜원, 『한국 현대시와 모더니즘』, 신구문화사, 1996.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가 지닌 일정한 한계를 인정한다 하더라도 그가 온갖 선구적인 이론들
이 수입되던 해방 이전까지의 시단에서 현대성을 나름의 방식으로 이해하고, 높은 수준의 언어 조형력을 통해 다른 모더니즘 시인들이 실현하지 못한 시적 경지에 이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독백이라 볼 수 있다.
* 시점 - 작가로부터의 서술(작가와 화자의 밀착) 1. 서론
2. 본론
2-1 1930년대 시사적 요구와 김기림
2-2 서구 모더니즘 문학 : 흄과 파운드를 중심으로
2-3 김기림의 모더니즘
3. 결론: 김기림 모더니즘의 의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사, 민음사, 2007
최동호, 서정시가 있는 21세기 문학강의실 : 현대시의 이해와 분석, 문학과 지성사, 1998
송기한, 1960년대 시인 연구, 역락, 2007
박몽구, 한국현대시와 욕망의 시학, 푸른사상사, 2006
진창영, 한국 현대시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더니즘
▶<後半期> 동인-1951년 피난지 부산에서 조직됨. 1930년대 모더니즘의 감각과 기법을 보다 직접적으로 받아들임.
작가-박인환.조향.이봉래.김차영.김규동(김기림제자.50년대 모더니즘 시운동)
김규동의 모더니즘 시론은 청록팔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9.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에 획득하고 있는 것이다. 시에 의미를 부여하기를 꺼렸던 그가 종교시에서 반성을 시도했으나 결국 자연으로 다시 돌아가게 된 것이다.
정지용 우리 현대시의 시적 출발의 확실한 발판을 마련했으며, 서구적 모더니즘에 수용에 있어서 단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에 획득하고 있는 것이다. 시에 의미를 부여하기를 꺼렸던 그가 종교시에서 반성을 시도했으나 결국 자연으로 다시 돌아가게 된 것이다.
정지용 우리 현대시의 시적 출발의 확실한 발판을 마련했으며, 서구적 모더니즘에 수용에 있어서 단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의 양식적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김은진 김용직,『한국현대시사의 쟁점』, 시와 시학사, 1991, p.227.
임화의 단편서사시는 당대적 사건의 사실적 수용과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낙관적 전망을 훌륭하게 시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는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