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35건

성은의 지극함을 우러르지 못하겠습니다. 萬歷二十四年十一月 日進呈,十八日奉聖旨: 書留覽,禮部知道,欽此。 만력 24년(1596년) 11월 18일에 성지를 받들어서 책을 쓰며 예부지도 이를 씀. 本草綱目原序본초강목원서 진본초강목소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7.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本草備要一書,蓋 (딸 힐; -총18획; xie) 取經疏、綱目二書之精義而備其要也。 왕인암 선생의 본초비요 한 책은 신농본초경소와 본초강목 두 책의 정밀한 뜻을 따서 요점을 대비하였다. 其藥品皆尋常共用之品,雖祗四百餘種,而檢書用藥,已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한다. 多食辛,則筋急而爪枯. 신미를 많이 먹으면 근육이 급하며 조갑이 마른다. (肝合筋,爪者筋之餘。爲金克木,按肝喜散,故辛能補肝,惟多則爲害)。 간은 근육에 합하며 조갑은 근의 나머지이다. 금이 목을 상극하면 간은 흩어짐을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하였다.『本草綱目』(1596)에서도 ‘술을 먹을 때 홍시를 먹으면 쉽게 취하거나 혹은 죽고 싶을 정도로 심통(心痛)이 생긴다’라고 하여 술을 먹을 때 홍시를 먹으면 안된다고 한다. 그러면 홍시가 주독(酒毒)을 풀어준다는 주장과 서로 상치되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5.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本草分編 등이 있다. 숫적으로는 {本草備要}, {申氏本草學}을 보는 사람이 많다. 本草 교과서 외우기도 바쁘지만 혹 약물의 근원적인 면을 알고자 한다면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本草品彙精要}, {本草綱目}, {中葯大辭典; 현대 약리학적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