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素問皮部論篇第五十六』. 類編黃帝內經. p.311.<經絡>5. 經筋, 皮部
우리 몸의 신장은 음중지소음(陰中之少陰)이라 하며 간장은 음중지소양(陰中之少陽)이다. 비장은 음중지지음(陰中之至陰)으로 분립을 하니, 여기 앞쪽의 음(陰) 또는 양(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3.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까치출판사.
② 안상우, 《內徑 三部九候論》에 대한 연구, 碩士學位論文.
③ 홍원식 편찬, 《黃帝內徑素問》, 동양의학연구원 출판부. 三部九候의 정의
《素問 三部九候論》에 나오는 三部九候
考察
三部九候 정리
참고문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9.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靈樞, 素問, 難經 五輸穴의 개념에 대한 고찰, 대한약침학회, 대한약침학회지 제11권 제25호, pp.189-199, 2008 오수혈(五輸穴)에 관한 서술(敍述)
1. 오수혈(五輸穴)의 개요(槪要)
2. 오수혈(五輸穴)의 위치(位置)와 주치(主治)
3. 참고문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배합에 의해
나타난다. ex) 심이 열을 소장으로 옮겨 소변이 혈뇨(血尿)가 되면 처방시에
심화(心火)를 제거하는 약을 써야한다.
心主汗, 汗爲心液 : <素問 宣明五氣篇> 五臟은 액(液)을 변화시키는데, 심은 땀, 폐는
콧물, 간은 눈물, 비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素問 . 陰陽離合論》를 보면 \"今三陰三陽不應陰陽, 其故何也\"라고 나온다. 이 질문은 참 의미심장하다. 즉 모든 것을 陰陽을 통해 바라보면 \"열고-닫고\" 하는 등의 두 개의 개념만이 존재하는데 도대체 三陰三陽은 한 개의 개념을 더 언급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5.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