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素問皮部論篇第五十六』. 類編黃帝內經. p.311.<經絡>5. 經筋, 皮部
우리 몸의 신장은 음중지소음(陰中之少陰)이라 하며 간장은 음중지소양(陰中之少陽)이다. 비장은 음중지지음(陰中之至陰)으로 분립을 하니, 여기 앞쪽의 음(陰) 또는 양(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3.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學說
(1)經絡說
(2)臟腑說
(3)氣化設
(4)部位說
(5)六經地面說
(6)段階說
(7)生理系統說
(8)六病說
三陰三陽의 槪念
1. 太陽病
2. 陽明病
3. 少陽病
4. 太陰病
5. 少陰病
6. 厥陰病
결론
參考文獻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5.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에 의해 경락의 기능적 현상의 추적, 뇌파를 이용하여 경락의 현상에 대한 이해 등등 경락의 실체를 찾고자 많은 시도들을 행하고 있다. 99 1. 경락학설(經絡學說)
2. 경락학설의 기원
3. 경락이란 무엇인가
4. 경락학설에 대해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經絡의 分布部位와 生理作用과 관련되어 있다.
原文
二十九難曰 : 奇經之爲病何如?
然, 陽維維於陽, 陰維維於陰, 陰陽不能自相維, 則然失志, 溶溶不能自收持. 陽維爲病苦寒熱, 陰維爲病苦心痛. 陰爲病, 陽緩而陰急. 陽爲病, 陰緩而陽急. 衝之
|
- 페이지 1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經絡), 약물(藥物), 치료를 비롯한 한의학의 모든 것은 음양오행으로 설명되어진다. 도가, 유가가 음양오행으로 형이상학적이고 도덕적이 면을 주로 논하고 있다면, 한의학은 주로 인간의 건강, 질병같은 실제 현상과 이러한 현상이 일어날 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21.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