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방송, 『고려음악사연구』, 일지사, 1988 1. 고려의 鄕樂과 鄕樂呈才
1.1. 고려시대의 鄕樂曲
1.2. 고려의 鄕樂呈才
2. 고려의 唐樂과 唐樂呈才
2.1. 고려시대의 唐樂曲
2.2. 고려의 唐樂呈才
3. 당악정재와 향악정재의 구성 비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악곡을 실었는데 한문가사인 ‘풍입송’등 6곡을 제외하고는 모두 ‘作歌之音’만 적었을 뿐 가사내용은 싣지 않고 있다. 그리고 고려악 다음에는 백제의 ‘정읍’등 3국의 속악 14곡을 수록하였다. <동경(東京) 계림부>, <동경(東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 음악의 수준을 한 차원 높였다고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당악이라 하여 송의 속악이 문종 때에 전래되어 향악과 함께 연주되면서 고려음악의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
** 참고문헌
박용운, 『고려시대사』, 일지사, 1994
박종기, 『고려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 후기의 혼란과 모순을 극복하고 새 왕조의 건설을 이룩한 창업주나 왕업을 찬양하고, 그들의 성덕을 기리는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그 밖에 새 왕조의 문물제도나 도읍을 찬양하고 과시하며 태평성대와 임금의 은혜를 기리는 내용이 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악과 속악은 잔치를 하면서 공연하는 점이 같으면서 당악은 중국에서 들어오고, 속악은 민간전승에서 받아들였다. 속악은 향악이라고도 하는데, 아아고가 속악, 당악과 속악의 우열에 상층 문화와 기층 문화의 관계 양상이 드러난다. 고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