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조선의 왕성 또한 지금의 평양에 있었던 셈이 된다.
준왕 이전의 고조선, 다시 말해 기원전 4세기 말~3세기 초 전국 연나라와의 전쟁으로 2,000여리를 빼앗기기 전의 고조선 중심지는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에 있었는지 분명치는 않다. 다만 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낙랑군에 의해서 막혀 있던 것도 아니고 그 존재가 정치군사적으로 토착한국인의 왕국건설을 방지할 수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참고문헌>
노태돈,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p.70 ~ p.73)
윤명철, 『한국해양사』, 학연문화사, 2003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낙랑군 조선현과 위만 조선의 왕검성 및 후기 고조선의 수도가 존재하였던 곳이었는데, 그러면 이곳이 처음부터 끝까지 고조선의 중심지였을까 하는 문제를 검토해보니 부정적이었다.
마지막 장에서는 요령성 비파형동검문화 유적에서 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조선 사학자 심백강 민족문화연구원 원장은 또 새로운 시각을 보였다. 낙랑이란 요서 지역의 상부와 하부를 흐르는 두 강의 이름인 ‘요락수’와 ‘백랑수’의 ‘락’과 ‘랑’을 따 지은 것이라는 것이다. 즉 낙랑군은 평양이 아닌 이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8.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낙랑군, 임둔군, 현도군, 진번군
(2)한사군의 전개
한사군 중 3개 군은 설치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폐지되거나 약화됨
고조선의 중심지에 설치된 낙랑군만이 풍부한 자원과 인구를 바탕으로 명백 유지
(3)낙랑군은 중국의 식민지였나에 대한 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