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곡관, 수축관, 급축소관/급확대관, 분지관, T관 등등이 있다. 이러한 이음을 유체가 통과하게 될 때 에너지를 잃게 되는데 이런 에너지 손실의 주원인은 통과하기 전과 통과한 후의 유선의 형상이 박리와 난류 등으로 크게 달라지면서 발생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조
직관
41.4
36.8
31
31.8
곡관
40
38.7
32
32.9
4조
직관
41.2
29.2
16.9
18.7
곡관
41.2
38
16
16.4
5조
직관
41.8
29.3
15.5
17.8
곡관
41.3
38.2
15.4
15.8
2조+3조
직관
40.7
36.85
32
32.7
곡관
40.2
39.4
31.5
32.8
4조+5조
직관
41.5
29.25
16.2
18.25
곡관
41.25
38.1
15.7
16.1
단위 : cm
- 분석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10.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곡관
측정값과 이론값의 차이점을 기술하고 그 이유를 논하여라.
- 일단 측정값에서 구할 수 알 수 있는 것은 속도에 따라 달라지고 있는데 이 것은 관 내부의 조도가 일정치 않아서 일것이다. 내부 조도가 일정치 않게 나온 것은 시간이 지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곡관의
Reducing-run of tee 감소-
2:1(based on velocities 4:1 of small end) 작은 밑단의 4:1 속도를 기초로
20. Venturi meters (벤츄리 유량계)
The head loss occurs mostly in and downstream of throat, but losses shown are given in terms of velocities at inlet ends to assist in design.
손실수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곡관내 유동장을 완전히 이해하기에는 아직실험결과가 부족한 상황으로, 향후 수치해석 방법 및 난류모형의 평가를 위해서도 곡관내의 여러 위치에서 발생하는 벽면 근방 및 대칭 단면을 포함하여 주유동 방향에 수직인 단면 전체에 대한 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