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험마다 일정하지 않을 것이고 대수감소율을 이용해서 얻을 수 있는 감쇠비도 또한 일정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감쇠값, 고유진동수, 관성모멘트 역시 일정하지 않을 것이다.
2) 의 실험값, 이론값 비교
* 실험값 :
* 이론값 :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8.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동수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비틀림 진동수
♠이론적 관성 모멘트를 구하기 위한 실험 장치의 물성치
봉의 지름( ) :
봉의 길이( ) :
봉의 강성도( ) : 80
봉의 재질 : steel
<그림6-6> 척의 물성치
♠질량 관성 모멘트의 계산
Section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동수
▶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비틀림 진동수
▶이론적 관성 모멘트를 구하기 위한 실험 장치의 물성치
봉의 지름( ) :
봉의 길이( ) :
봉의 강성도( ) : 80
section ①
section ②
section ③
section ④
※오 차
1)실험과의 오차
실험값 :
이론값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ch에 의한 진동수 측정
<Table 5-2> 주파수 분석기에 의한 진동수 측정
avg
질량관성 모멘트[]
오 차
(%)
실험치
이론치
0.0000
1.25
45.4054
44.358616
2.3598
0.1007
2.062
53.38422
55.42700
3.685
0.1508
1.813
69.05492
66.200
4.3126
0.2016
1.625
85.95745
81.5063
5.461
0.2533
1.438
10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동수를 측정한다면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다는 것도 알았다. 이는 회전 운동과 병진운동이 혼합 되어 2개의 주파수가 측정 되기 때문이다.
관성모멘트를 측정하는 실험이 실험 1과 4였는데, 모두 진동수를 측정함으로써 실험적으로 어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