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있음을 말하려는 데 있습니다. 그러므로 四端은 理의 發이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한편 七情은 일반 사람들의 情의 현상에서 보듯이, 그 發의 적중 여하가 일정치 않습니다. 그것은 마치 氣의 특성만이 인정되는 경우와 같습니다. 그러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7.0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상을 중시하다.
⑩저서 : 성학십도, 퇴계집, 이황통록, 이산원규 등이 있다.
⑪도덕적 인격을 배양키 위한 “행동규범”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3) 율곡 이이
①주기론의 입장에서 주리론을 수용하여 성리학의 집대성화를 추구하였다.
②향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을 존중하고, 潛心自得, 발달단계에 맞는 학습방법
※ 철학사상 : 이기호발설, 이기이원론적 주리론
※ 저서
성학십도
(유학사상을 체계화. 정치적 사상에 사용하고자 心法을 10개의 그림으로 설명한 군왕지계의 서)
(3) 율곡 이이
※ 교육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러한 인정을 통하여 백성의 안정을 강조한 것은 제왕학으로서 전개되었으며 그 후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와 율곡 이이의 성학집요로 발전되었고, 조선 중기 이후 심성론으로 전개되는 계기가 되었다. 1. ????중용????의 성립과 주자의 해석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이의 수양 방법론은 그의 리기론과 무관하지 않다.
이이에 따르면, 지(志)란 \"마음에 갈 바가 있는 것\" 즉 마음에 목표가 정해진 것, 또는 \"지(志)는 의(意)가 정해진 것이요, 의는 지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이다.
『국역 율곡집 II』;성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