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사상가
(1) 최충(崔沖 ? ∼1068)
(2) 안향(安珦, 1243∼1306)
(3) 이색(李穡, 목은, 1328∼1369)
(4) 정몽주(鄭蒙周, 1337∼1397)
3. 조선의 교육사상가
(1) 권근(權近,호는 양촌, 1352∼1409)
(2) 이 황(李滉:퇴계, 1501∼1572)
(3) 이이(李珥: 栗谷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사상가 퇴계 이황(성리학)
1. 교육의 사상
2. 교육의 원리적 성격
3. 교육의 방법론적 성격
Ⅱ.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율곡 이이(성리학)
1. 교육이념
2. 교육목적
3. 교육방법
4. 철학사상
5. 저서
Ⅲ.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반계 유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상촌에 있어서 일반학교와 직업학교를 구분하였다.
<참고문헌> 교육 사상가 평전(敎育思想家評傳) - 한국교육학회 교육사 연구회 1. 삼국 시대
1)원 효
2. 고려 시대
1)안 향
2)목은 이 색
3. 조선 시대
1)퇴계 이 황
2)율곡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사상가
1) 권근
(1) 억불숭유주의를 강조한 교육사상가이다.
(2) 인재양성을 통한 국가발전을 추구하였다.
(3) 명인론을 제시하였다.
(4) 계열적 방법에 의한 교육학습지도를 강조하였다.
(5) 시청각적 교육방법을 역설하였다.
2) 이 황
(1) 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 요구된다. 이처럼 존경이란 강요나 명령으로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교사가 학생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어야만 교육의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격적인 면은 한국사회에 존경받고 있는 스승인 이 율곡 , 이 황, 도산 안창호 선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