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과 전통문화, 삼영사
김등학 외(2000)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김동욱 외(1990) 한국 민속학, 새문사, 1990
오세경(1998) 한 권으로 읽는 한국의 민담, 석일사
조동일(1990)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윤용식 외(1996) 구비문학 개론, 한국방송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8.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대의 구비문학 – 시대의 거울
『유행어』
○ 시작전에
╋━━━━━━━━━━─────────
고터
흠좀무
① 구비문학
╋━━━━━━━━━━─────────
■ 전통사회 – 주로 사랑방, 마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5.08.2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비문학론」 새문사
심후섭 엮음「한국의 속담」도서출판 이상사 1999
최창렬 지음「우리 속담 연구」 일지사
송암 「속담 맛보기」 코람데오
원영섭 엮음 「우리 속담 풀이」세창 출판사
인터넷 사이트 - 속담토피아 http://hometopia.com/prover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이라는 점을 중요시한다.
둘째, 문학으로서 연구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왜냐면 구비문학은 문예학의 대상이 될 때 비로소 깊이 있고 성과 있게 연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1장 서론 (구비문학론)
1. 구비문학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개론』, 새문사, 2003.
- 이헌홍, 「판소리론」, 김승찬 외, 『한국 구비문학론』, 새문사, 2003.
- 곽정식,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신지서원, 2005.
- 정병헌, 『판소리와 한국 문화』, 역락, 2002. 1. 판소리의 정의
2. 판소리의 명칭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정서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구비문학은 기록물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지극히 유동적인 구술물이면서도, 항시 변하지 않는 고정체계(固定體系)를 유지해 오고 있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과 지성사> 2000.2
(3) 오적
오적 전문 보기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3&dir_id=30610&eid=avcd8JipGrdcV/XLaY4RGC1dIOyMZAa6&qb=xse80riuIL/AwPs
<오적>은 서두가 \"시를 쓰되 좀스럽게 쓰지 말고 똑 이렇게 쓰럇다\"로 독자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8.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 대산출판사, 2000.
이부영,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1995
www.home.hanmir.com/~ourboros
1. 민담의 개념과 구조
2. 민담의 예와 작품분석
<콩쥐팥쥐>
<호랑이와 곶감>
3. 정리하며...
《참고문헌》 1. 민담의 개념과 구조
2. 민담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기씨의 아들 삼형제, 즉 남신으로 나타난다는 것도 변별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바리데기> / <초공본풀이>
무조신의 신격: 바리공주 생명수로 부모 살림, 초공본풀이(특징: 아들 세 명이 무속의례를 통해 엄마를 살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3.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내용요약 제 1 장 서 론
다음 주 금요일, 돌아오는 10월 3일은 ‘하늘의 문이 열린다.’는 개천절이다. 서기전 2333년(戊辰年), 즉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국조 단군이 최초의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으로 제정되었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15.08.2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