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어로 인정하지 아니했다. 그리고 명사도 동사와 똑같이 활용태를 세웠으며 동사에도 명사와 같이 격을 세운 점이다. 그리고 정렬모는 이러한 송하의 문법이론을 전적으로 모방했다.
<참고문헌>
표준국어문법론, 남기심고영근 저, 탑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않고, 꾸밈씨와 같이 한 가지 기능만을 가진다. Ⅰ. 품사분류의 기준
<1>의미
<2>기능
<3>형식
Ⅱ. 품사분류의 실제
가. ‘허 웅’의 품사 분류법
나. ‘최현배’의 품사 분류법
다. ‘학교문법’의 품사 분류법
Ⅲ.품사의 종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특성상 다양한 어미가 나타나며 용언이나 서술격 조사의 어간에 연결되어 시상 및 서법을 표현하게 된다. 어미는 선어말 어미, 종결 어미, 연결 어미, 전성 어미 등으로 분류된다.
4. 최현배와 이숭녕의 품사 분류 비교
국어품사
최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품사의 자격을 부여할 수도 있다.
♠ 참고 문헌
교육부(2002), 『고등학교 문법』, 두산.
김동현(1998), 「국어품사분류연구」, 평택대학교 논문집 제10집 제1호.
남기심 고영근(1993),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서정수(1996), 『현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최현배와 박승빈의 지정사설이 주도되는 시대이고 제3기는 체언토의 일부로 본 것이 그대로 학교문법에 적용된 것 같다. 이광정(2003), 국어문법연구-품사- 09.‘이다’의 연구사적 고찰
결론적으로 ‘-이다’의 용언적 성격은 형태론적 특성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1.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