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의 종성표기
① 『훈민정음』에서의 종성
훈민정음은 음소문자이다. 음소문자인 훈민정음이 초성, 중성, 종성을 모아서 표기하는 방법을 채택한 이유는 분명히 밝혀진 바 없다. 하지만, 훈민정음 해례본에 모아쓰기에 대한 이야기가 나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6.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이다. 현행 한글맞춤법 국어정서법(正書法)·국어정자법(正字法)이라고도 한다. 한글맞춤법의 기본은 훈민정음(訓民正音)에 규정되어 있다.
에서는 체언 조사의 도움을 받아 문장에서 주체의 구실을 하는 단어. 명사 ·대명사 ·수사가 이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과 표준어. 공주대학교출판부.
전영우. (1995). 바른 말 고운 말. 서울: 집문당.
훈민정음연구소. (1998). 국어 정서법 익히기. 서울: 애플기획.
서울대학교국어교육연구소. (2004). 고등 학교 문법 <교사용 지도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네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조항을 바꾸어야 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참고 문헌>
『국어음운학』-우리말 소리의 오늘어제, 허웅, 샘문화사, 1989
『국어 정서법 연구』, 민현식, 태학사, 1999
『이야기 한글 맞춤법』, 리의도, 석필, 1999
『통일시대의 한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1.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무엇이 문제인가?』, 임홍빈 외, 태학사, 1997
『이야기 한글 맞춤법』, 리의도, 석필, 1999
『국어 정서법 연구』, 민현식, 태학사, 1999
『통일시대의 한글 맞춤법』, 연규동, 박이정, 1999 Ⅰ. 들어가기
Ⅱ. 두음 법칙의 표기
2. 1 제10항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