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조건향상과 지위보장을 위해서 파견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념이 보다 포괄적으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김용호, 사용자범위의 확대에 관한 법리, 숭실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8)
김형배, “근로기준법상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15.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준법 제15조의 사용자에 해당하므로 근로기준법 위반행위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해석한 사례(노동부 행정해석 2003.01.21, 근기 68207-78)
(3)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
(가) 개념
근로기준법상 사용자의 범위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상 사용자 개념이 동일하지만, 노조법상 사용자 개념이 노동삼권을 보장해 주어야 하는 주체로서의 사용자 개념인데 반하여 근기법상 사용자의 경우 근로기준법상의 의무의 수규자라는 점에서 범위의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6. 소결
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상의 사용자는 근기법의 준수의무자인 반면, 노조법상의 사용자는 노조의 상대방단체교섭의 상대방 및 부당노동행위금지의 수규자로서의 지위를 가진다. Ⅰ. 서
Ⅱ.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
1. 근로자의 개념
2. 근로자의 범위
1)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무는 부장과장 등과 같은 형식적인 직제상의 지위나 직명에 따를 것이 아니라 구체적/실질적인 책임과 권한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1. 사업주
2. 사업경영담당자
3.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