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활동을 하는 가구는 총소득 $995을 벌고 있는 반면, 근로활동을 하지 않는 가구는 소득이 전혀 없음 : 근로활동가구($1,368), 비근로활동가구($645)
Ⅶ. EITC(근로장려세제, 근로소득보전세제)의 모형
한국형 EITC모형은 3가지이다. 국민기초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빈곤층에게는 신자유주의는 개혁이 아니라 실질적 혜택,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5
박능후, 미국 근로소득보전세제(EITC)의 특성과 정책적 함의, 국제노동브리프, 한국노동연구원 국제연구실, 2005
박능후·김재진, 한국형 EITC 도입 타당성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소득보전세제(EITC): 주요국의 사례와 시사점」, in: 재정포럼, 4월호, pp. 6~33.
- 오재춘, 2006,「근로소득보전세제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세무회계연구 18호.
- 박능후, 2003, EITC 특성과 소득보장기능, 보건복지포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장려세제도 향후 급여수준을 미국 수준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대안이다. 미국의 경우 최대급여액 $4,400은 중위가구소득($46,326)의 약 10% 수준이다. 이를 우리나라에 적용할 경우 중위가구소득 3,385만원의 10%인 약 330만원 수준이다. 향후 이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득이 낮을수록 소득증대 규모가 더 컸다. 근로소득 세액공제라는 정책적 수단을 활용해 부양자녀가 있는 가정의 소득증대에 명확한 우선순위를 부과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Ⅵ. 참고문헌
김향민, 「우리나라의 근로장려세제도에 관한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3.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