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1. 총요소생산성이 항구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상품시장
그림 11-10
항구적: 소득효과 크다.
저축이 불변, I 증가
C, I 증가
Yd의 이동이 Ys의 이동보다 크다.
r 상승
화폐시장
상품시장 : r 상승, 소득 증가
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9.0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술충격 :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등 → 노동자본생산성 향상 → 노동자본수요증가, 총공급증가 → 총공급곡선의 우측이동 (→ 이자율 하락 → 총수요증가)
ㄱ) AD곡선의 우측이동 → 투자증가에 의한 자본생산성 하락
ㄴ) 기술진보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술충격 → 호경기
② 호경기 → 물가가 하락 ※ 경기변동 특성에 위배?
③ 소비와 투입물 조정의 지속성 설명
④ 실질이자율 상승 → 노동공급과 균형고용량 증가
⑤ 재정정책은 경기변동 요인이나 화폐중립성 성립
2-4 공급중시경제학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7.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술충격과 같은 실물적 요인이라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실물적 경기변동이론은 프리드먼과 슈바르츠가 보여 준 바 있는, 전후 미국의 주요한 GNP변동에 통화량변동이 선행했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반론 또한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술 충격과 경기 변동, 한국국제경제학회
양희승 외 1명(1998), 생산시설 해외이전의 유형별 특성 및 효과분석, 기술경영경제학회
이은진(1994), 새로운 생산조직의 발전과 작업자의 문제, 경남대학교
장동철 외 2명(2010), 기업의 생산입지선정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