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엿보기
- ① 제국의 일본과 식민지 조선
② 유치장에서 만난 왕백작 - 아나키스트, 조련(常連)
③ 기차에서 만난 왕백작 -울음, 동경의 동지, 절망적인 고독감
4. 논평 - 식민지 조선 속의 왕백작. 그 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사량의 생애 및 활동
2. 작품분석
1, 사대적 우울과 제국주의 비판
1) 토성랑
2) 지기미, 유치장에서 만난 사나이
3) 낙조
4) 물오리섬
2. 비협력의 저항과 내선일체 비판(내선일체의 허와 실)
1) 천마
2) 빛 속으로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1.1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사량과 장혁주의 비교
1) 김사량의 언어관
2) 장혁주의 언어관
Ⅴ. 김사량의 작품분석
1. 시대적 우울과 제국주의 비판
1) 「토성랑」
2) 「지기미」, 「유치장에서 만난 사나이」
3) 「낙조」
4) 「물오리섬」
2. 비협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 「광인일기」와 「아Q정전」
4 동아시아와 루쉰
5 루쉰과 동아시아적 인간상
5-1 동아시아 근대의 공통적 고민
5-2 동아시아에서의 입인주의(立人主義)
5-3 한국의 루쉰
6 김사량의 「Q백작: 유치장에서 만난 사나이」
7 나오며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4.05.2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들이 사는 법
- 김사량 「덤불 헤치기」 『문예(文藝)』조선 특집호, 1940.7.
1. 그들의 덤불 헤치기
지배 계층의 언어로 피지배 계층의 실상을 이야기 한 사람이 있다. 작품들이 일본어로 쓰여 한 때 친일 작가로 불려 왔던 ‘김사량’이란 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