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에 편입. 발해의 강역은 한민족의 주요 활동 무대. 1. 발해사 연구와 국가주의
1) 패전 전의 일본
2) 중국
3) 구소련
2. 발해사와 한국사체계
1) 긍정론
2) 부정론
3) 남한의 ‘남북국시대론’의 고민.
3. 발해사 인식에 비판적 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4.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국시대론(발해-신라)은 근거없다』황정일 보고서
변태섭 저,『한국사통론』,삼영사, 1998
윤선태 저,『신라골품제의 구조와 기반』, 서울대 국사학과, 1993
역사신문편찬위원회 엮『역사신문1:원시시대~통일신라』,사계절, 1995
이이화 저,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사9』, 국사편찬위원회, 1998
이정숙, 「화랑세기」, 『韓國史學史』, 三英社, 1999
이재운, 「계원필경」, 『韓國史學史』, 三英社, 1999
崔英成, 「崔致遠의 時務策의 建議 背景에 대한 考察」, 『韓國思想과 文化』5, 1999
권덕영, 「筆寫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더 많은 연구와 투자가 이루
져야 할 것이다. 들어가는말
본론
1. 4개국의 발해관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2. 남한과 북한의 인식차이
3. 중-러-일의 자국중심 해석
4. 남북국시대론의 타당성
5. 역사 속 발해에 대한 인식
맺음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대론을 제기했고, 이를 계기로 최근에ㅣ 들어 일부 개설서들에 남북국시대란 용어가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것은 왕조중심의 시대구분이 지니 는 결함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는데 한국사에서 삼국시대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