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체협약의 규정이 피고 공단 직원들에게 적용시행되어 온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피고 공단 노동조합이 위 단체협약 부칙 제4조의 규정을 둔 것은, 피고 공단이 설립된 이후 위 단체협약 체결시까지 사이에 노사관계에서 발생하였던 근로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된다.
노동부장관의 확장적용결정은 협약외부자의 근로조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이의신청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Ⅳ. 단체협약의 시간적 범위
1. 단체협약의 법정유효기간
단체협약의 유효기간은 2년을 초과하지 못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체협약의 여후효는 부정되며 다만 근로계약과 취업규칙 등만 적용된다는 견해이다.
3) 검토의견
단협의 규범적 부분은 개별적 근로관계의 내용으로 화체되어 존속(자동적 효력)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Ⅰ. 들어가며
Ⅱ. 단체협약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체협약은 노조법상 단협이라고 볼 수 없다.(판)
1) 규범적부분
2) 채무적부분
3) 조직적부분 (김형배)
2. 실질적 요건
가. 당사자간 합의 : 민법상 의사표시에 관한 규정이 원칙적으로 적용
나. 의사표시의 특성 : 단체교섭이나 단협은 어느 정
|
- 페이지 3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조법의 특색
(1) 교원노조법 법제화 경과
(2) 현행 교원노조법의 주요특색
3. 교원 노조법의 적용
(1) 교원노조의 설립 ∙ 운영 단위(동법 제4조)
(2) 단체교섭
(3) 단체협약 (동법 제7조)
(4) 성실교섭 의무(동법 제6조 4항)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07.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