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장균 O157:H7 eaeA 유전자의 재조합 및 발현 분석, 연세대학교
김문식(1996), 병원성 대장균 O157, 대한의사협회
이재훈(1999), 3종 유산균제제, O-157감염 예방 확인, 약업신문사
최홍규(2001), 대장균 O157에 대한 마늘의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4.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O-157:H7 감염의 가장 중요한 예방법은 음수관리를 위생적으로 하는 것이다. 대장균은 분변에 오염된 물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농장, 도살장, 도시 하수에 대장균이 많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오염된 음수의 접촉을 막아야 한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O-157균
1. O-157 개념
2. 감염증상
3. 감염경로
4. 환자 발생시 조치상황
Ⅳ. 식중독균 종류3 리스테리아균
Ⅴ. 식중독균 종류4 살모넬라균
1. 증상
2. 감염경로
3. 예방법
Ⅵ. 식중독균 종류5 병원성대장균
1. 병원성대장균의 종류
2. 병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6.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장균인 O157:H7이 모두 검출
됐다고 밝혔다.
*O-157대장균에 의해 발생하는 식중독
O-157균은 장출혈성 대장균이며, 장독소원성 대장균, 장침입성 대장균 여행자 설
사병 등으로 불려진다.
미국에서 1982년 햄버거의 분쇄육에서 최초로 발견되었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O-157대장균 발생 사태에서 입증된 바 있다.
이 대장균은 일본의 집단급식소와 미국의 쇠고기 시장을 강타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식품 및 의약 전문가들은 `우리 민족의 식습관, 음식문화가 이에 강한 체질을 만들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