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택을 배치함으로써 자동차 통행 없이도 직장과 상가 및 주택간을 대중교통, 보행 자전거로 통행하도록 하는 토지개발의 형태이다. TOD는 교통과 토지이용의 연계에 입각하여 도시철도역사나 버스정류장을 중심으로 고밀도의 복합용도개발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5.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통량을 처리하는 한편 동서간선축인 김포-관산간 도로가 김포-파주-일산을 연결 향후 양주까지 확장된다.
특히 교하신도시는 대중교통중심개발(TOD : Transit-oriented Development) 기법이 적용된 신도시로 자동차의 통행을 최대한 배제하고 직장-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TOD 구상
판교신도시에서는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중심의 개발, 즉 TOD를 기반으로 교통체계를 구상하였다. 개발에 의한 교통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역도로 6개노선(57.3km)을 확충 및 신분당선전철, 광역버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TOD (Transit – Oriented Development): 대중교통중심 도시개발
- 이론의 발생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도시의 평면적인 확산(Urban Sprawl)이 지속되면서, 교외화 및 자동차 중심 도시계획의 부작용으로 상습적인 교통혼잡, 환경 오염, 녹지공간의 훼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2.11.1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TOD의 대중교통과의 연결과 인근지역간의 연결을 중시한다.
다. 대중교통중심 도시개발의 사례연구(TOD Case Study)
대중교통중심의 개발(TOD)이론에 적용할 수 있는 사례지역을 통해 대중교통중심의 도시개발의 필요성과 개발의 가이드라인 중 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