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용의 시론』, 현대문학, 1986.
http://cafe.naver.com/aloneedu.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43 Ⅰ. 독자지향이론의 등장
Ⅱ. 이론적 배경
1. 주관적 관점
2. 현상학
Ⅲ. 대표적 이론가
1.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
2. 볼프강 이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론
6. 미국의 해체 이론
제 5 장 독자지향 이론
1. 주관적 관점
2. 제랄드 프린스: `피서술자`
3. 현상학
4. 볼프강 이저: `내포된 독자`
5.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 기대 지평
6. 스텐리 피시: 독자 경험
7. 마이클 리파테르: 문학적 능력
8.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3.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론은 다르다. 그리고, 구조 주의와도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
그럼, '독자 지향 이론'은 어느 이론과 주의에서 영향을 받은것인가? 주관적 관점
제랄드 프린스 ; ‘피서술자’
볼프강 이저 ; ‘내포된 독자’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04.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론적 특징
(1) 현상학
(2) 해석학
(3)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
(4) 주요 이론가들의 이론적 특징
(5) 불확정성과 구체화
(6) 예술작품과 심미대상
2. 수용미학 비평가
(1)잉가르덴의 층이론
(2) 야우스의 ‘도전으로서의 문학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5.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일되고 단일한 방법론을 제공해 주지 못한다.
텍스트의 절대적인 의미를 부정, 열린 텍스트를 주장함으로써 해석이나 이해가 다를수 있으며,
독자들의 각기 다른 교육적인 배경과 수준을 수용할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