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시범특례(同時犯特例)(제 263條)
서론(序論)
본론(本論)
1. 법적 성질
2. 적용요건
3. 적용의 범위
4. 사례적용
결론(結論)
동시법 특례 (제 263조)의 판례
인질강요죄 (제 324조의 2)
서론(序論)
본론(本論)
1. 인질강요죄의 구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63조의 동시범의 특례
1) 의의
제263조는 상해의 동시범에 있어서는 원인행위가 판명되지 아니한 때에도 의사연락이 있었던 것과 같이 공동정범으로 처벌한다는 특례규정이다. 이 규정은 'in dubio por reo 원칙'의 예외를 인정한 것이다.
2) 법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63조의 동시범의 특례
1)의의
제263조는 상해의 동시범에 있어서는 원인행위가 판명되지 아니한 때에도 의사연락이 있었던 것과 같이 공동정범으로 처벌한다는 특례규정이다. 이 규정은 \'in dubio pro reo 원칙(의심이나 의문의 단계에서는 피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9.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본적 구성요건: 상해죄(제257조 제1항)
3. 상해죄의 가중적 구성요건
4. 상해의 동시범(제263조)
5. 폭행죄의 기본적 구성요건(제260조 제1항)
6. 폭행죄의 가중적 구성요건
*과실치사상의 죄
*낙태의 죄
*유기와 학대의 죄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시범의 특례(제263조)를 두고 있다.
주12) 김일수, 앞의 책, 329쪽 이하.
_ 끝으로 행위의 공동이 있다 하더라도 주의의무 위반의 성질이 서로 다른 경우에 무조건 동시범으로 인정할 것이 아니라, 각자 정범이 되는가의 여부를 독립적으로 검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