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동양철학연구회, 2004.
정용환, “고자의 성무선악설과 맹자의 성선설”, 동양철학연구, 동양철학연구회, 2007. 1. 맹자 ‘성선설’의 특징
2. ‘성선설’의 인간규정의 문제
3. 나의 입장
<참고 문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에 반대하는 성악설(性惡說)이 태어났다. 송대(宋代) 이후 이 성악설과 천(天) ·인(人) 분리설로 인하여 이단시되어 왔으나 그 논리학이나 인식론을 포함한 사상의 과학적 성격은 한대(漢代) 유교에 크게 기여한 역사적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맹자(孟子)
양(楊)-묵(墨)의 감각론
양-묵의 이(利)에 도전
중국 최초의 혁명론
이상으로써의 선양(禪讓)과 현실의 방벌(放伐)을 시인함
모순을 내포한 공상적 사회주의
성선설(性善說)
호연지기(浩然之氣)
7. 순자(荀子)
전국사군(戰國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5) 유교 사상의 근본
(6) 유가사상
3. 대사상가들...
(1) 공자
1)맹자(孟子/BC 372?~BC 289?)
2)맹자의 사상
3)성선설(性善說)
4)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
5)순자
6)순자의 사상
7)순자의 인간관
8)성악설
9)예 (禮)
10)화성기위 (化性起僞)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맹자의 성선설을 기초로한 인간성의 회복이라고 생각한다. 또, 아무리 인간이 선천적으로 선하다라고 해도 그후에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는다면 자기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어떤 일도 할수있는 즉, 끝이 없는 욕망을 위해서 악을 행할수도있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