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언어연구1
○ 최영애·김용옥(1998), 중국어란 무엇인가, 통나무 Ⅰ. 개요
Ⅱ. 중국어의 변천
Ⅲ. 중국어의 명사유의어
Ⅳ. 중국어의 중의구조
Ⅴ. 중국어의 통사단위와 복음절화
Ⅵ. 중국어의 지시성와 한정성
참고문헌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의어의 의미 연구:명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 유봉현, 「브레인스토밍 기법이 창의적 사고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 유추문, 「한국어 학습자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表題) 2:글제(-題), 과제(課題)
50.떠돌―이
【명사】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사람.
비슷한 말부랑자(浮浪者), 방랑자(放浪者), 방랑객(放浪客), 유랑객(遊浪客), 떠돌뱅이, 순거(居) 유의어의 발생 원인
유의어의 사례 조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사 앞에 쓰이어) 그런 기간이나 행동 하나 하나의 각각의
모든 : 온갖, 여럿을 다 합한, 전부의
4. 결론
학습 현장에서 유의어 문제에 부딪혔을 때 간혹 매우 당혹스러울 때가 있다. 모어 화자인 교사로서는 미처 의식하지 못한 유의어들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7.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사가 오느냐에 따라서 그 쓰임이 구별된다. 결과적으로 ‘뽑다’와 ‘고르다’는 완전 동의어라고 할 수 없다. 부분 동의어는 유의어라고도 불린다.
<참고문헌>
박종호·황경수,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방안에 관한 소고: 3쌍의 동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