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음상승은 규칙순 속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이 위에서 언급한 급여관계 인데 중부 방언권에서는 ‘건더기>건데기>건디기’. ‘구더기>구데기>구디기’와 같이 움라우트를 거쳐 ‘ㅔ>ㅣ’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또한 천안방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굽(은) 다리) : 굽은 다리(曲脚)
16) 이적지(<아직디히) : 여태껏, 이때까지
Ⅶ. 천안 방언(지역어, 사투리)
1. ‘어→으’의 모음상승
2. 모음상승과 어간 재구조화
3. 모음상승과 형태론적 제약
4. 모음상승과 역사적 정보
참고문헌
방언 사투리, 지역어 부산방언, 나주 방언(지역어, 사투리), 목포 방언(지역어, 사투리), 거문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무주 방언(지역어,,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활음, 전이음, 이동음(glide))
2) 상승이중모음(경구개 반모음)
3) 하강이중모음(연구개 반모음)
Ⅲ. 조음의 요소
1. 혀의 전후
2. 혀의 고저
1) 3단계 분류
2) 4단계 분류
3. 입술모양
1) 원순 모음
2) 평순 모음
4. 모음의 명칭
Ⅳ. 조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활음, 전이음, 이동음(glide)): 반모음은 혼자 발음될 수 없고 항상 모음의 전후에 나타난다. 반모음은 음절의 중심(핵)이 되지 못하고 음절의 중심인 모음으로 미끄러져 옮겨가므로 활용된다.
- 상승이중모음(경구개 반모음): ㅑ, ㅕ, ㅛ, ㅠ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의 유형
1. 단모음(single vowel)
2. Daniel jones의 기본 모음
3. 이중모음(diphthongs)
1) 상승이중모음: 반모음+모음
2) 하강이중모음: 모음+반모음
Ⅱ. 국어 모음의 체계
Ⅲ. 국어 모음의 모음조화
Ⅳ. 국어 모음의 비모음화
Ⅴ. 국어 모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