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야금 산조에는 여러 유파들이 있다
2. 각 유파별로의 계보
1) 한성기류
2) 안기옥류
3) 박상근류(1905~1949)
4) 심상건류(1889~1965)
5) 함동정월류
6) 김죽파류
7) 성금연류
8) 지성자류
9) 서공철류
10) 김종기류
11) 강태홍류
12) 김병호류
1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야금은 1960년대 이후 새롭게 만들어진 창작국악곡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하였는데, 황병기, 이성천 등의 작품을 통하여 독주악기로서의 가치와 그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런 무형유형 문화재 같은 무한한 관광자원를 잘만 개발홍보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2.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야금, 거문고, 장구, 징 등의 합주로 연주되지만, 피리, 젓대, 호적, 풀피리(초적), 퉁소, 단소의 독주로도 연주한다.
합주로 연주하는 <시나위>와 <산조합주>, 독주로 연주하는 <시나위>와 <산조>는 외형적으로 구별이 쉽지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야금산조 하나만 살펴보더라도 강태홍류, 김병호류, 김윤덕류, 성금련류, 김죽파류, 황병주류, 최옥산류 등 수십 개의 유파가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한국음악의 다양성을 엿볼 수 있다.
5. 한국음악은 요성(搖聲), 퇴성(退聲), 기음(氣音)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조의 음악적 바탕
2. 산조의 미학
3. 산조의 진보성과 변혁의지
4. 산조의 장단
5. 산조의 농현
6. 가야금산조
7. 거문고산조
8. 대금산조
9. 해금산조
10. 아쟁산조
Ⅷ. 연주 주체별로 본 국악(한국전통음악)공연
Ⅸ. 직업으로서의 국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