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반
남반
양인
(서인)
향리·군인·잡류
군현의 농민
향·소·부곡인 및 진척·역민, 공장·상인
양수척(화척·재인)
천인
(천례·노비)
사노비·공노비·사원노비 1. 시작하는 말
2. 신분제도
1) 신분제도의 형성과 구조
2) 관인계층
3) 향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쳐 시조라 부르게 되었고 이 후 곡조는 빼놓고 단순히 작품내용만을 시조라 하기에 이르렀다. 시조란 시절의 노래 즉 시절가조의 약칭으로서 시절가. 신조. 시조라고도 하였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는 그 호칭이 시조 하나로 굳어져 가는 경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尉
분 순 부 위 (奮 : 떨칠 분 )
正八品
承義副尉
승 의 부 위 (副 : 버금 부 尉 벼슬 위)
從八品
修義副尉
수 의 부 위 (修 : 닦을 수)
正九品
效力副尉
효 력 부 위 (效 : 본 받을 효)
從九品
展力副尉
전 력 부 위 (展 : 펼 전)
品 階
文 武 官 의 妻 :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반무반잡업의 세 층으로 나누어 지급하였다.
경종대의 정치는 원년(976) 11월까지 죄수들의 사면과 복수법의 허용 등으로 극심한 혼란을 겪다가 집정 왕선이 추방되면서 왕을 중심으로 한 개혁이 이루어진다. 경종은 집정제를 좌우 집정제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반재상에게 귀속되고 있었으며, 이 밖의 兵馬使, 知兵馬使, 兵馬副使, 兵馬判官 등도 여기서는 명문화된 규정이 없지만 대개는 문관을 임명하여 赴鎭케 하고 있으니, 이것은 兵馬指揮權이 문반에게 독점되고 무반은 이에서 제외되었음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