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벌귀족가문’ 형성
위에서 고려의 관리임용체계를 통해 귀족제사회론를 반박하고, 문벌의 유지기간과 문벌의식을 각각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로 규정하여 이를 관료제사회론 보강의 근거로 삼은 부분이 있었다. 하지만, 본 장에서는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료제의 확립과 변천 및 인사, 재정제도, 한국행정사학지 통권 제 10호, 2001
김용선, 과거와 음서: 고려 귀족사회의 두 가지 등용문, 한국사 시민강좌 제 46집, 2010
김용선, 고려사회의 기본성격, 한국사 시민 강좌 제 40집, 2007
김윤정, 고려전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료제론자들은 주로 서양의 귀족제 개념을 바탕으로 법제적 특권과 신분의 영속성을 누리는 귀족들이 고려에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귀족제론자들은 사회맥락 상 음서제와 제한적인 과거제 시행을 보았을 때, 실질적인 문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8.07.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회였다. 그리고 문벌과 능력이 다같이 존중되던 사회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고려사회의 성격에 대한 명쾌한 해답은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 고려사회가 과연 귀족사회로 규정지을 수 있는지 그렇다고 해서 관료제 사회는 적당한지 이러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귀족제사회라는 주장을 더욱 뒷받침하게 된 것이다. 李基白, 高麗貴族社會의 形成, 一潮閣, 1990, pp. 83~84.
그러므로 蔭制 뿐만이 아니라, 심지어는 科擧制에 의해서까지 신분적 특권을 유지하려고 한 귀족사회의 그 점이 보다 강조되어, 이는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