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을 그리면 만나는 지점을 구함에 있어서 커다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실제 자를 이용하여 눈짐작으로 그리기 때문에 접선이 많이 틀어질 수 있다. 더구나 I 축은 log scale이기 때문에 조금만 틀어져도 10배 또는 1/10배가 되어 버린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분기를 달아서 안정성을 높이면 좀 더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기기로 한 실험이었지만 눈에 많이 의존했던 만큼 오차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좌표를 마우스커서로 찍어 값을 읽는 과정에서 커서가 움직이는 범위가 다소 커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도
>> w=logspace(-1,2,50);
>> bode(n,d);
단위계단입력을 단위 궤환 루프에 입력했을 때의 출력 그래프
>>정착시간 : 측정불가
상승시간 : 2.07s
정상상태오차 : 측정불가
오버슈트가 굉장히 크게 10. 유연성을 갖는 CART 시스템
1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5.22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저, 두양사, 2006 1. 실험 목적
2. 질문
1) 임피던스
2) 저역, 고역, 대역통과필터
3) RLC 공진
4) Q-factor
5) RC, RL, RLC 회로의 시간에 대한 미분 방정식
6) Bode Plot
3. 시뮬레이션
1) RC 회로의 충, 방전
2) RC 통과회로(pass filter) 구성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의방정식]
1. 접선의 방정식
②
p.57-p.59
접선의 방정식
접점
(a,f(a))
고2
[미분계수와
도함수]
2. 함수의
증가와 감소
③④
p.60-p.63
함수의
증가상태와 감소상태
함수의 증가와 감소
증가 ↗
감소 ↘
3. 함수의
극대와 극소
⑤⑥
p.64-p.67
극값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7.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