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법 및 민사특별법,서울:(주)에듀윌
·곽윤직(교수) 김재형(대법관),(2013),민법총칙,서울:박영사 1. 민법의 의의
(1) 민법이란
(2) 공법관계와 사법관계
(3) 공법과 사법의 구별
2. 민법의 법원
(1) 법원의 의의
(2) 민법의 법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전과 그 부속 법률을 제정, 공포함으로써 민사에 관하여 제 1차적으로는 제정법을 적용하고 제 2차적으로는 관습법과 조리를 적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판례법에는 그 적용의 언급을 회피함으로써 민사법 법원의 성문법주의를 채택한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8.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 (법률저널 2005) 민법의 법원(법률, 관습법, 판례, 조리의 법원성)
I. 서설
1. 법원의 개념
2. 민법 제1조의 내용
II. 법률의 법원성
1. 법원으로서의 법률의 모습
2. 조례의 법원성
III. 관습법의 법원성
1. 관습법의 의의
2. 관습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은, 민법전뿐만 아니라, 민법부속법령, 민사특별법령, 공법의 규정 가운데에도 많이 흩어져 있다.
第2章 民法의 法源
[6] 第一 法源의 意義
1. 법원의 의의
법의 연원을 짧게 줄여서 ‘법원’이라고 한다.
법원이라는 말은 여러 가지의 뜻으
|
- 페이지 15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2.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의 법원
?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4) 조약
헌법에 의하여 체결 공포된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는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지므로,
그것이 민사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민법의 법원이 될 수 있다.
2. 관습법
(1) 의의 및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1.09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