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이 큰 왕족 15분의 신위가 모셔져 있다. 일년에 한번 함께 제사하며 이때 연행되는 악(보태평, 정대업)· 가(악장)· 무(일무) 일체를 말한다
③알기쉬운
국악개론
종묘와 영녕전의 제사에 사용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을 말하며 줄여서 종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는 보태평은 황종평조, 정대업은 황종계면조로 음높이의 변화가 생긴다. 이와 같이 보태평과 정대업이 황종조로 바뀌게 된 이유는 편종, 편경과 같이 아악기가 혼합 편성된 까닭이다.
3) 역사적 개관 및 문헌자료
현재 전하는 종묘제례악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태평의 악보는『세조실록』악보의 그것과 많은 차이가 있으나,『세조실록』악보와『대악후보』에 실린 정대업·보태평은 거의 같고, 다만 보태평 악곡 중에 용광(龍光)과 정명(貞明)을 한 곡으로 묶어 용광정명(龍光貞明)이라 하고, 중광(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태평은 황종, 태주, 중려, 임종, 남려의 5음음계로 된 평조이다. 정대업은 황종, 협조, 중려, 임종, 무역의 5음음께로 된 계면조이다. 그러나 19세기 이후 5음음계이던 계면조가 변질되어 3음음계 내지 4음음계로 변질되었다.
가) 음계
종묘제
|
- 페이지 8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태평
영신
헌가
희문 9성(9회 반복)
문무
편종, 편경, 방향, 당피리, 대금, 해금, 장고, 진고, 축, 박
보태평
전폐
등가
전폐희문
문무
영신과 같고 해금대신 아쟁, 진고 대신 절고를 사용함
풍안지악
진찬
헌가
진찬곡
없음
영신과 같음
보태평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