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때 장형보다 단형의 의미가 더 직접적이며, 특수화되어 관용어화 하는 빈도도 높다.
<참고문헌>
고영근, 남기심, 국어의 통사·의미론, 탑출판사, 1994.
이익섭, 채완, 국어문법강의론, 학연사, 1999.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1994.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국문학』통권 106호
구종남(1990), 「부정문의 통사 구조와 의미」『한국 언어문학』28, 한국 언어문학회
임흥빈(1987), 「국어 부정문의 통사와 의미」, 『국어생활』10, 국어연구소
남기심고영근(1985), 『표준국어문법론』, 탑 출판사
서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문법론 픔사, 형태소 단어형성, 국어문법론정리(형태소, 픔사, 단어형성, 문장의 짜임, 높임법, 종결법, 사동법, 피동, 부정법, 지시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서 이중부정문이 의의를 갖는 것이다.
참고문헌
고영근, 「보충법과 불완전 계열의 문제」, 어학연구 23.3., 505-26(520-23), 1987.
고영근·남기심, 「표준 국어 문법론」, 탑출판사, 1985.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1992.
김승동, 「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6.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대우법』, 역학, 2007.
이승희, 『국어 청자높임법의 역사적 변화』, 국어학회, 2007.
이익섭·채완, 『국어문법론 강의』, 학연사, 1999.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어의 경어법
2. 상대경어법
1) 상대경어법의 정의
2) 상대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5.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