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단은 본성의 발현으로 순선무악(純善無惡)하다고 하면서 사단에도 ‘중절 · 부중절’ 또는 ‘정 · 부정’이 있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유학사상사에서 사단칠정론은 성리학 논쟁의 핵심이지만 이것이 사상문제에만 그치지 않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해서 3, 4년 동안 만나서 토론하기도 하고 편지로 논변하기도 하였는데 서로 합치하지 못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사실은 사단칠정론과 인심도심론에 대한 종합과 인물성동이론의 시작이 된 출발점이 다름 아닌 원주문화권이라는 점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4.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이 칠정 속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 독립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 것으로 본 것이다. 퇴계는 이발을 맹자의 사단의 확충에 중점을 두고 한 말로 설명하는 한편 칠정의 발동에 대해서는 수양하고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로 설명하는데, 그것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칠정론은 역시나 어려운 것 같다. 과제를 끝낸 지금도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4 7논변에 대해서 자세히 다 완벽히 설명 할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는 설명할 수가 있다. 나중에 공부를 더 많이해서 생각하는 사고가 깊어지면 다시 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을 '이지발'이라 한 것은 주희의 정론이 아니므로 〈주자어류〉 기록자의 오기라 했다. 또 사단이나 칠정이 다 성지용(性之用)으로서 정이므로 사단과 칠정을 이기에 각각 분속시키는 것은 주희에게 있어 평일의 아언(雅言)과 맞지 않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