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와 윤리실천의 주체로서의 개인
가. 주체와 성실
나. 인권과 자유
2) 의의 정치적인 면
가. 민본주의
나. 혁명사상
3) 의의 사회적인 면
가. 인도주의
나. 저항정신
4) 맹자의 의에 대한 해설
2. 사단사덕
1) 사단(사단)
2) 사덕 (사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4.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덕과 사단
(1)사덕
(2)사단
3)악의 기원
<천인합일 사상>
<수양론>
1)이상적 인간: 대인
2)수양의 목적
3)수양법(존심양성)
<맹자의 정치사상>
1)왕도정치
2)왕도정치의 특징
3)혁성혁명론, 폭군방벌론, 일부가주론
4)법선왕론과 신
인성론 사덕, 천인합일 사단, 맹자의 철학(인성론, 천인합일, 사덕, 사단, 성선설, 왕도정치, 수양론, 역성혁명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 자연스러운 발로를 선하다고 할 때 선의 판별 기준은 저절로 주체의 내부에 확보되지만, 사단도 절도에 맞거나 맞지 않을 때가 있다고 한다면 그 중절과 부중절을 판단하는 근거가 따로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준은 리와 객관화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21.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형성하고 다른 사람과 희노애락을 함께하며 타인의 불행에 적극적 이타행위를 할 수 있게 된다. 맹자가 말한 인정은 바로 이런 바탕에서 이루어진다.
즉, 맹자는 외재적 규범이나 자신의 욕구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만이 아니라 사회까지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7,000원
- 등록일 2009.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과 사덕에 대한 주희와 정약용의 이론은 절대로 조화될 수 없는 이론이라고 조사를 하면서 느꼈지만 꼭 어느 한 쪽이 맞는다고 주장하기에도 무리가 있는 것 같다. 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누가 맞다고 이야기 할 수 없는 부분이고, 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