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민과 식민지배(식민지지배)
1. 노동력 강제 동원
2. 군 관계 강제 동원
Ⅴ. 식민과 식민적 근대성
Ⅵ. 식민과 식민주의역사관(식민주의사관, 식민사관)
1. 타율성 이론
1) 만선사관
2) 반도적 성격론
3) 사대주의론
2. 정체성 이론
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주의사관」, 『한국근대역사학의 이해』, 문학과지성사, 1981.
송찬섭, 「일제의 식민사학」,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下, 창작과비평사, 1994.
이기백, 「반도적 성격론 비판」, 『한국사 시민강좌』1. 1987.
강진철, 「정체성이론 비판」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8.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바람직한 일이라고 본다.
출처:
http://user.chollian.net/~ikch0102/y-1-8.htm 1. 문제의 소재
2. 일제 식민지배 미화론의 근거 - 정체성(停滯性) 이론
3. 식민지 근대화론의 전개과정
4. 식민지 근대화론의 검토
5. 남은 말 - 제언을 곁들여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뒤 권영욱은 역둔토사업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이 사업의 식민지적 1. 문제의 소재
2. 일제 식민지배 미화론의 근거 - 정체성(停滯性) 이론
3. '식민지 근대화론'의 전개과정
4. '식민지 근대화론'의 검토
5. 남은 말 - 제언을 곁들여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사관은 식민지배 정책의 변화에 맞추어 보다 확대 적용되고 있었다. 한국사의 각 부문에 적용된 식민사관의 내용은 크게 일선동조론과 타율성이론, 그리고 정체성이론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일선동조론은 단순하게는 한국과 일본이 같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