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조도 있고 예컨대 장로교나 천주교 등 특정 교회 분파용으로 작성된 ‘내부’ 신조도 있다. 지성주의자들은 설사 자기가 속한 전통의 신조가 아닐지라도 주요 신조들을 두루 숙지하고 싶을 수도 있다. 사도신경, 니케아 신조, 아타나시오스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스- 인간 예수의 몸은 육과 영인데 성령(로고스)가 들어와서 잉태되었다. 그리스도의 신성을 강조함으로 인성을 약화
네스토리우스- 그리스도는 인성과 신성의 두 본성을 가지고 있으나 상호 교류가 불가능하다고 봤다. 비록 그리스도는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음부 강하설)(~543)
529
몬테가시노 수도원 창설
오렌지 회의
553
제5차 총공의회(콘스탄티노플 2차 회의) - 칼케돈 신조 재확인
590
교황 그레고리 1세 즉위
602
페르시아, 로마제국 침공
614
페르시아, 예루살렘 함락.
750
공인된 사도신경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7.06.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칼케돈 종교회의 신조는 451년에 정통 기독론 시대의 막을 열었다. 그 후 1500년 동안 칼케돈 신조는 주님의 인격에 관한 기독교 가르침의 기준이었다. 니케아의 삼위일체론과 칼케돈의 기독론적 정의들은 한 분이신 하나님을 증거하는 구약성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스를 중심으로하는 이단파문이 있었고 급기야 니케아 종교회의가 소집되었다. 유세비우스는 이러한 분쟁속에 하나의 신조를 제안하여 감독들과 황제는 약간의 부족부분을 보충하는 문구와 신성을 모독하는 자들에 대한 저주만을 첨가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인성의 신성화)
그레고리 : 말씀 - 인간형 - 예수 안에서 로고스가 인간의 영혼을 취함
콘스탄티노플 회의 : 아폴리나리우스 정죄. 니케아 신조 재확인(vere deus) - "성부와 동일한 본질" 그리스도의 참 인성을 확증(vere homo) - "성령과 동정녀 마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스는 비록 젊고 작았지만 통찰력에 있어서 이미 미래의 정통주의 신학자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그는 스승인 알렉산더가 니케아 신조를 바로 만들도록 도와주었고 그의 남은여생을 그것을 옹호하는 데 보냈다. 신학자요 행정가로서 그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니케아 회의 이후이다
“325년 니케아 공의회 이전에는 신약성경 이외에 정통 신앙의 보편적 표준은 존재하지 않았다.” 니케아 회의 이후 니케아 신조가 이단 판단의 기준이 되었으나 니케아 회의 이전에는 성경과 신앙율, 사도들의 가르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도 시대부터 이어오는 주교, 사제, 부제의 조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 직제의 역할은 디다케(12사도 교훈집)과 AD2세기의 작품으로 추정 되는 ‘사도전승’에 잘 나타나 있다. 그러나 개신교는 주교, 사제, 부제의 구분을 인정하지 않는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8.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니케아 회의 이후이다. 325년의 니케아 공의회 이전에는 신약성경 이외에 정통신앙의 보편적 표준은 존재하지 않았다. 니케아 회의 이후 나케아 신조가 이단 판단의 기준이 되었으나 니케아 회의 이전에는 성경과 신앙율, 사도들의 가르침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