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 싫은 상황에서 공부까지 더 잘한다고 가정한다면 더욱 화가 나겠죠? 이런 부정적 상황에서는 ‘마저’가 아닌 ‘조차’를 쓰는 것이 더 잘 어울린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두 조사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두 조사의 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14.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으니까\'와 \'아/어서\'의 의미론적 차이
30분~40분: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문법적 차이
40분~50분: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화용론적 차이
50분~60분: 질문, 학습내용 정리
6. 출처 및 참고문헌
한국어 연결어미 \'-아서, -(으)니까\'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9.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차’ ‘마저’의 차이점을 말해보세요.
세 가지 조사는 모두 어떤 상황에서 더 나아간다는 뜻으로 쓰이는데, 차이점은 조차와 마저는 뒤에 부정문이 올 때 사용하고, 까지는 뒤에 긍정 부정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참 ‘마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저’ 및 까지
이들은 대개 ‘도’와 비슷한 ‘또한, 역시’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리하여 이들은 서로 바뀌어 쓰일 수 있다.
(6) 너(도, 조차, 마저, 까지) 나를 못 믿는구나.
그러나 그 세부에 들어가면 네 조사는 미묘한 차이를 일으킨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차이도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놀라운 점은 상당히 일찍부터 빵을 먹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일본사람들은 메이지 시대에 신식군대가 등장했을 때부터 빵을 먹기 시작했다. 일본의 영양학은 메이지 시대에 들어 군대 식사의 서구화에 의해 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