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란이 이어졌으며 절망과 한숨이 끊이지 않는 상황이었다.
사마리아를 정복한 아시리아는 민족간의 이주정책을 실시한다(왕하 17:24-41). 바벨론, 구다, 아와, 하맛 등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스라엘로 건너왔으며 그들은 사마리아의 여러 성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디글랏빌레셀(앗시리아)
앗시리아에 이욘,아벨벳마아가,야노아,게데스,하솔,길르앗,갈릴리,납달리를 점령당하고 주민들을 빼앗김
왕하15:27~31
여호야김
609-598(11)
느고(이)
느부갓네살(바벨론),
시리아,암몬
느부갓네살의
신하가 되어
세해동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왕하23:29-30) 이로 인하여 요시야의 넷째 아들 여호아하스 즉 살룸이 왕으로 추대되고 이집트의 느고는 그를 잡아다가 왕위를 박탈하고 이집트로 끌고 갔다(왕하23:33-34, 대하36:2-4) 그는 포로신세로 있다가 그곳에서 죽고(왕하23:34, 렘22:10) 요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왕하18:9-12)에 유다의 왕이 되었다. 히스기야는 처음에 아버지 아하스와 함께 유다를 공동 통치하였다(왕하18:13). 이 기록에 따르면 히스기야는 714년에 왕으로 즉위한 셈인데 이는 18:9의 내용과 모순된다. 따라서 18:13의 통치 연수는 히스기야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왕하 23:1-3)
하나님께서는 훌다 선지자를 통하여 유다에 예언과 저주를 선포하시고 요시야 왕에 대해서는 유다에 내리게 될 재앙과 멸망을 보지 않고 그들의 열조에게로 돌아가게 하시겠다는 약속하셨다. 한편 이는 요시야가 죽은 후에야 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1.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