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오드화가에서 1.269를 곱하는 이유 : Na2S2O3와 I2는 다음과 같이 반응한다. Na2S2O3(1g 당량은 248.18g)과 I2(1g 당량은 126.9g)는 ‘당량 대 당량’으로 반응하는데, 다음 식을 참조하여 0.1N Na2S2O3용액의 소비량으로부터 요오드가를 계산하는 것에 대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그러나 실험의 오차가 조금 크므로 실험 결과로 유지의 지방산을 구하기는 힘들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 자료에 있는 요오드가로 유지의 평균분자량을 구해보면 대두유는 866~889g, 팜유는 820~840g 정도가 나온다. 지방이나 오일은 triglyceride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자량이 작은 지방산이 많을 경우에는 n 및 m의 숫자가 많아 KOH의 소비량이 많다. 따라서 비누화가는 유지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분자량규모를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나. 요오드화 반응의 메커니즘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된 유지는 Ni같은 촉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요오드의 2배이다. 즉 황산구리 5수화물의 몰수와 티오황산나트륨의 몰수가 같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표준화한 티오황산나트륨의 몰농도와 소비된 부피를 곱하면 황산구리 5수화물의 몰수가 된다. 여기에 황산구리 5수화물의 분자량을 곱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요오드가의 계산식에서는 1.269를 곱해주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비누화가의 계산식을 살펴보면 우선 비누화가는 유지 1g을 완전히 비누화하는데 필요한 KOH의 mg수이다. KOH의 분자량은 56.1g인데 실험에 사용된 KOH 용액의 농도는 0.5N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100원
- 등록일 2015.07.0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