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누화 반응을 하여 3개의 지방산을 생성하므로 지방산 하나의 분자량은 대두유는 대략 276~284g이고 팜유는 대략 260~267g 정도이다. 대두유의 경우 요오드가가 높은 것으로 보아 대부분이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있고 지방산의 분자량으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두유, 면실유, 미강유, 참기름, 옥수수기름, 유채기름
불건성유(nondrying)
100 이하
땅콩기름, 올리브 기름, 동백기름, 팜유
<table 4-6. 요오드가에 따른 유지 분류>
* Homework
① 비누화반응의 메커니즘 : 트리글리세리드는 KOH 또는 NaOH와 함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149.4395의 값이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른 조의 실험을 통하여 팜유의 요오드가와 대두유의 비누화가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24.5-14.7) X 0.9987 X 28.05
대두유의 비누화가 = ------------------------- = 179.738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Abstract
이번 실험은 이러한 유지의 화학적성질을 이용하여 유지의 비누화가와 요오드가를 구하는 것이다. 유지의 비누화가와 요오드가를 측청하기 위하여 미강유, 신선대두유, 산패대두유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누화가는 유지 1g을 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100원
- 등록일 2015.07.0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두유의 지질이 대부분의 중성지방과 극소량의 유리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NaOH를 넣어 비누화 반응을 일으켜 유리지방산염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사용된다.
2번째 단계에서 유리지방산에 Methyl 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BF3-MeOH을 첨가함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