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6건

고구려 문자왕(文咨王:재위 491∼518) 때 용수(龍樹)의 《중관론(中觀論)》 등 삼론(三論)을 비롯한 천태(天台), 열반(涅槃) 등의 교법이 들어와 대승불교에 대한 연구 및 교화가 활발하였다. 또한 길장(吉藏)은 삼론을 바탕으로 삼론종(三論宗)을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1.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중론』, (용수보살 저, 청목 역, 구마라집 한역), 서울: 경서원. 김김성철, (1996), 용수의 중관논리의 기원: 『방편심론』의 상응논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과 박사학위논문. 김성철, (1997), 역설(paradox)과 중관철학, 『가산학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7.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용수 , 龍樹] 인도의 불교학자. 본명 : 나가르주나(나가:용, 아가르주나:나무 이름) 별칭 : 제21의 서가(書家), 8종(八宗)의 조사(祖師) 국적 : 인도 활동분야 : 종교 출생지 : 남인도 주요저서 : 《중론》(4권) 원이름 나가르주나(나가:용, 아가르주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용수의 중론 [9주차] 1. 존재에서 시작된 모순 2. 모순에 빠지지 않는 방법(이분법적 사고방식 극복방법) 3. 유식의 識 4. 유식의 사상 - 심층심리 5. 유식의 경전 [10주차] 1. 인식의 과정 2. 정토사상 [11주차] 1. 네 번째 경전에 들어있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2.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용수는 이제(二諦)야 말로 연기와 공성의 이치가 세간을 세간답게 하고 第一義諦(眞諦)와 열반을 얻게하는 구체적인 지혜임을 강조하고 있다. (3). 唯識사상 “삼계는 오직 마음일 뿐이며, 만법은 오직 식일 뿐이다.”라는 말이 유식학의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