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 적용되는 경우보다 경제적이므로 (11가)가 배제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까지가 한국어 용언 반복 구문이 보이는 양상이 어느 한쪽은 허사라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1. 용언 반복 구문
2. 용언 반복 구문의 분석 : 용언의 가시적 이동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문
4. 접속, 내포
Ⅱ. 통사론(구문론, 문장론)의 문법범주
1. 시제, 상, 양태
2. 피·사동, 부정
3. 종결, 높임, 의문
4. 어순, 생략,
Ⅲ. -이다의 통사구조와 문법범주
1. 용언설에 대한 검토
2. 조사설에 대한 검토
3. 파생 접사설에 대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언 설정 기준은 최현배(1961)에서와 마찬가지로 ‘의존성’(dependency)으로 집약된다. 그러나 기존 논의에서는 보조용언의 의존성이 음운론적 의존성을 언급한 성격이 강한 데 반해 우리는 통사론적 의존성을 더 중요시한다. 그와 함께 부차적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언반복구문의 반복의 양상 등은 이동을 설정하지 않는 음운부 가설에서 설명되기 어렵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1. 한국어 종결형 문장의 구조
1.1. 용언의 어간
1.2. Agr(일치소): ‘-시/∅-’
1.2.1. 찬성측
1.2.2. 반대측
1.2.3. 일치소 살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왼쪽의 형태 중 '-시'가 복사되지 않아 비문법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양상이 '-시' 뒤에 오는 시제소(Tense) '-았-'에서도 관찰된다. 시제소도 (3)을 준수한다. 1. 용언 반복 구문
2. 용언 반복 구문의 분석 : 용언의 가시적 이동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