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불교에서 전통불교의 사상을 우리것으로 소화시켜 능히 공부하고 능히 사통오달로 열리게 하는 불법을 의미한다.이것을 요약하여 우리에게 밝힌 의지는 다음과 같다.
① 섬품을 여의지 안는 佛法工夫
자성의 본래를 찾아 不離自性하는 진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불교 정화사(2005) - 원불교 전서, 원불교
최준식(2004) -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3, 증산교, 원불교, 사계절
하정남(1998) - 한국 신종교의 남녀 평등사상에 관한 연구, 원광대 박사논문
한정원(1994) - 원불교 선의 의미에서 본 공부, 원광대학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불교 선법과 동정일여
Ⅲ. 원불교 선법과 삼학병진
Ⅳ. 원불교 선법과 무시선
1. 진공묘유의 선
2. 삼학병진선
1) 삼학
2) 삼학병진
3. 생활 속의 선(활선)
4. 자유를 얻는 선
Ⅴ. 원불교 선법과 공부
1. 교법의 시작과 끝에서 본 공부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의 공부는 원불교 수행의 근본인 동시에 수행의 완성이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이것은 자성을 떠나지 않는 심경으로 살아있는 마음을 작용하고 살아 가게 하자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 따라서 한생각 내고 들이는 데 공부심을 떠나지 않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불교사상연구원
○ 최광현(1999), 일상수행의 요법 무시선 : 1·2·3조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최광현(2002), 수행문에서 본 일원상 : 목우도와 무시선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한기두(1976), 무시선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