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36건

『생활 일본어』 あたらしいことば 한자의 음독과 훈독정리 목 차 1. 조사 배경 2. 조사 방법 3. 조사 결과 4. 조사 결론 1. 조사 배경 생활일본어의 수업 중 『생활 일본어』안에 수록되어 있는 あたらしいことば의 각장마다 새롭게 나온 한자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7.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읍성에 관한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다. 세종실록지리지 149권 영동현조 : 邑城 周圍398步內有川二 신증동국여지승랍 16권 영동현 산천 : 城隍山 在縣北-里鎭山城廓邑城石築2410尺高七尺 內有二井 대동지지 6권 충청도 : 永同城址古城-在城隍山-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문장의 이해/기문사/2000 1. ‘음독ㆍ훈독’으로 복잡 미묘한 일본어 2. 한국어가 기원인 일본어와 일본어가 기원인 한국어 3. 다양한 의미가 있는 일본어 ‘스미마셍’ 4.‘운치’를 중시하는 일본인 5. 상대적 높임말의 일본어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훈독(訓讀)을 지시한다. 그리하여 한문을 음으로 읽으면서 삽입하는 구결을 음독구결(音讀口訣), 고려시대 불경에 나타난 묵서와 같이 한문을 새겨 읽도록 지시하는 구결을 훈독구결(訓讀口訣) 또는 석독구결(釋讀口訣)이라 하여 구별한다.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음독표기 (소리를 빌려 읽음): 古 [ko] 2) 훈독표기 (뜻을 빌려 읽음): 水 [물] 3) 혼합표기 (음독과 훈독을 번갈아 가며 표기): 大田 음독표기[대전] / 훈독표기[한밭] ② 서기체 표기 (조사는 없지만 한자를 가지고 우리나라 어순으로 씀 예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15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논문 1건

훈독(訓讀)하고 ‘정(丁)’은 ‘뎡’으로 음독(音讀)하면 ‘益丁’은 ‘*더뎡’으로 재구된다. 이 ‘*더뎡’과 ‘더덕’의 음상 차이가 너무 크다고 지적할 수 있으나, ‘구멍(穴)’의 방언형에 ‘구먹’이 있다는 점과 15세기의 ‘바당(低)’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5,000원
  • 발행일 2012.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