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위로 인한 직접적인 결과로 볼 수 있으며(직접성의 원칙), 2)제1행위로 사망한 것으로 안 \'행위자의 인식\'과 제2행위로 인하여 비로소 사망에 이른 \'객관적 사실\' 사이의 행위자의 착오는 결과적 가중범에 있어서의 인과과정(인과경로)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과관계의 착오\", 고시계 2001/8
정현미, \"인과과정에 개입된 타인의 행위와 객관적 귀속\", 형사판례연구[9](2001)
정영일, \"목적범에 관한 판례연구\", 형사판례연구[9](2001)
정영일, \"목적범\", 고시계 2001/11
이용식, \"개괄적 고의사례에 관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08.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과관계설은 그 전제로 하고 있는 조건설의 부당성으로 인해 큰 의미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오늘날 통설이라 할 수 있는 상당성설은 단일행위 내에서의 인과과정의 상위가 있는 사례와 마찬가지로 개괄적 고의사례를 인과과정의 착오의 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1.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고의의 성립에 영향이 없다.
따라서 갑에게는 살인의 고의가 인정된다. 즉 인과과정의 착오로 인해 고의가 조각되지 아니한다. 인과과정의 비본질적 착오에 해당 살인의 고의가 부정되지 않기 때문에 갑의 행위는 살인죄 하나의 죄책에 해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8.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과관계의 착오의 취급에는 ① 인과의 과정이 일반적 경험지식에 의한 예견가능성의 범위 내에 있으면 비본질적 착오이고 예견가능성의 범위밖에 있으면 사실의 착오로서 고의를 조각한다는 견해(통설)와 ② 인과관계는 고의의 인식대상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